니자티딘은 위산 분비 억제와 위배출 증진의 두 가지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을까?

Can Nizatidine Play a Dual Role of Inhibition of Gastric Acid Secretion and Promotion of Gastric Emptying?

Article information

Korean J Helicobacter Up Gastrointest Res. 2022;22(4):251-252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2 November 29
doi : https://doi.org/10.7704/kjhugr.2022.0048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Liver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김상균orcid_icon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간연구소
Corresponding author: Sang Gyun Kim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and Liver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101 Daehak-ro, Jongno-gu, Seoul 03080, Korea Tel: +82-2-740-8112, Fax: +82-2-743-6701, E-mail: harley1333@hanmail.net
Received 2022 September 23; Revised 2022 November 1; Accepted 2022 November 6.

히스타민 2 수용체 차단제는 위내 산 분비를 자극하는 여러 신경전달물질 중의 하나인 히스타민 2의 수용체를 차단하는 약물로 개발되었으며, 1970년대 초반 시메티딘을 필두로 1980년대까지 여러 가지 종류의 약물이 개발되었다. 니자티딘과 파모티딘은 그중 비교적 후반에 개발된 약물로, 분자 구조식에는 차이가 있으나 히스타민 2 수용체를 차단하는 동일한 약리 작용을 갖고 있다.

히스타민은 음식 섭취에 의해 분비량이 증가하는 신경전달물질로서 위 벽세포에 결합하여 위산 분비를 촉진하는데, 히스타민 2 수용체 차단제는 이러한 히스타민이 벽세포에 결합하는 수용체를 차단함으로써 위산 분비 억제 기능을 갖는다. 한편 위내 산 분비를 자극하는 신경전달물질 중의 하나인 아세틸콜린은 이외에도 신경-근육 접합부에 작용하여 평활근 수축을 증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아세틸콜린은 식후 위산 분비의 촉진 기능과 더불어 위장관운동 기능을 활성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1].

다른 히스타민 2 수용체 차단제와는 달리 니자티딘은 일반적인 위산 분비 억제 기능과 함께 아세틸콜린 분해효소를 억제하는 기능을 함께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아세틸콜린 분해효소는 신경 말단에서 분비된 아세틸콜린을 분해함으로써 평활근 수축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는데, 이러한 아세틸콜린 분해효소를 억제하는 경우는 아세틸콜린의 효과를 지속하게 되므로 위장관운동을 촉진 또는 유지하는 결과를 나타내게 되며, 이러한 결과는 기존의 동물 실험에서 이미 잘 나타난 바 있다[3]. 일반적으로 위산 분비를 억제하는 경우 이에 대한 되먹임으로 가스트린 분비가 증가하고, 위배출이 지연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는데, 니자티딘은 위산 분비 억제와 별도로 아세틸콜린의 효과를 지속하게 함으로써 위장관운동에 영향을 미치는 작용을 한다[4,5].

따라서 니자티딘은 위산 분비 억제 기능과 함께 아세틸콜린 분해효소를 억제함으로써 위장관운동 기능을 촉진하는 기능을 함께 갖고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 왔다. 이에 위배출 기능이 저하된 기능성 소화불량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 시험에서는 니자티딘이 위배출 기능을 촉진하고, 증상을 완화하는 데 효과가 있음이 증명된 바 있으며, 수면 장애를 동반한 기능성 소화불량 환자에서도 수면 장애를 완화하는 데 효과가 있음이 나타났다[6,7].

이번 연구에서는 이러한 위장관운동 기능 촉진의 효과를 니자티딘과 파모티딘 사이에서 비교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8]. 기존의 동물 실험과 같이 니자티딘군에서는 위산 분비 억제의 효과와 더불어 위장관운동 기능의 촉진 효과가 파모티딘군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 위장관운동 기능의 저하에 따른 증상을 함께 갖고 있는 환자에서 위장관운동 촉진제를 함께 복용하지 않더라도 하나의 약물로 두 가지의 증상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실제로 니자티딘 단독군과 모사프리드 병용군에서 위배출능의 차이가 없는 결과를 보였는데, 모사프리드는 세로토닌 수용체에 작용하므로 아세틸콜린과는 다른 작용으로 위장관운동 기능을 촉진하는 상승 효과를 나타내지 않을까 기대하였으나, 실제로는 병용 투여를 하더라도 동물 실험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인체를 대상으로 한 기존의 임상 시험에서는 히스타민 2 수용체 차단제 또는 양성자 펌프억제제와 위장관운동 촉진제를 병용하였을 때 위장관 배출이 증가하여, 니자티딘 단독 투여와 모사프리드 병용 투여가 인체에서 실제로 위장관운동 기능에 어떤 결과의 차이를 나타낼지에 대해서는 보다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9,10].

위산 분비 억제의 측면에서는 위내 pH는 니자티딘군과 파모티딘군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니자티딘에 모사프리드를 병합한 군에서는 단독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위장관 운동 촉진제를 병합 투여할 경우 히스타민 2 수용체 차단제가 십이지장 및 소장으로 빨리 배출되어 흡수가 촉진되어 나타나는 결과로 이해된다[11,12]. 동물 실험에서의 이러한 결과가 실제 임상에서도 위장관운동 촉진제의 병용 투여에 따른 속쓰림과 같은 증상의 개선에도 함께 효과가 있을지에 대해서도 앞으로 비교 임상 시험을 통한 효과 규명이 필요하다.

이번 연구는 동물 실험을 통해 니자티딘이 위산 분비 억제와 위배출 증진의 두 가지 기능이 함께 있으며, 파모티딘과 비교하여 효과의 차이가 있음을 증명한 데 의의가 있으나, 실제 임상에서도 이와 같은 효과가 동일하게 나타날지에 대해서는 후속 연구가 많지 않다는 제한점이 있다. 이번 연구 결과를 토대로 위배출능의 장애, 조기 포만감 또는 식후 더부룩함의 증상과 상복부 통증 또는 속쓰림 등의 증상을 함께 갖고 있는 기능성 소화불량 환자를 대상으로 니자티딘 단독 사용과 위장관운동 촉진제의 병용 투여를 비교하는 전향적 임상 시험 또는 타 히스타민 2 수용체 차단제와의 비교 임상 시험을 통한 효과 규명이 기대된다.

Notes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References

1. Song HY, Jung SW, Kim YS. Prokinetic agents. Korean J Helicobacter Up Gastrointest Res 2022;22:86–101.
2. Ueki S, Seiki M, Yoneta T, et al. Gastroprokinetic activity of nizatidine, a new H2-receptor antagonist, and its possible mechanism of action in dogs and rats. J Pharmacol Exp Ther 1993;264:152–157.
3. Kaneko H, Mitsuma T, Uchida K, Nagai H, Harada M, Kotera H. Nizatidine accelerates gastric emptying of a solid meal in rats. Dig Dis Sci 1995;40:2043–2051.
4. Parkman HP, Urbain JL, Knight LC, et al. Effect of gastric acid suppressants on human gastric motility. Gut 1998;42:243–250.
5. Sanaka M, Yamamoto T, Kuyama Y. Effects of proton pump inhibitors on gastric emptying: a systematic review. Dig Dis Sci 2010;55:2431–2440.
6. Futagami S, Shimpuku M, Song JM, et al. Nizatidine improves clinical symptoms and gastric emptying in patients with functional dyspepsia accompanied by impaired gastric emptying. Digestion 2012;86:114–121.
7. Futagami S, Yamawaki H, Izumi N, et al. Impact of sleep disorders in Japanese patients with functional dyspepsia (FD): nizatidine improves clinical symptoms, gastric emptying and sleep disorders in FD patients. J Gastroenterol Hepatol 2013;28:1314–1320.
8. Yeom DH, Choi HS, Kim MS, et al.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oral nizatidine versus famotidine on intragastric pH and gastric emptying in a stress rat model. Korean J Helicobacter Up Gastrointest Res 2022;22:288–294.
9. Choi HS, Kim EJ, Kim MS, et al. Effect of combination therapy of oral famotidine with mosapride on intragastric pH and gastric emptying in rats. Korean J Helicobacter Up Gastrointest Res 2021;21:220–225.
10. Lim HC, Kim JH, Youn YH, Lee EH, Lee BK, Park H. Effects of the addition of mosapride to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patients on proton pump inhibitor: a prospective randomized, double-blind study. J Neurogastroenterol Motil 2013;19:495–502.
11. Iida H, Inamori M, Fujii T, et al. Early effect of oral administration of omeprazole with mosapride as compared with those of omeprazole alone on the intragastric pH. BMC Gastroenterol 2012;12:25.
12. Iida H, Inamori M, Nozaki Y, et al. Early effects of oral administration of lafutidine with mosapride compared with lafutidine alone on intragastric pH values. BMC Gastroenterol 2009;9:52.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